- 前 의장은 감사 요청, 운영위원장은 감사 보류 '갈팡질팡'
![]() |
▲ 서울시의회 전경. (세계뉴스 제공) |
[세계뉴스 전승원 기자] 김현기 전 서울시의회 의장이 요청한 서울시 감사가 '개점휴업' 상태로 감사 범위가 축소되는 등 논란이다.
김 전 의장은 지난 4월 11일 서울시 감사위원회에 공직기강, 회계 부정 등에 대한 전수조사를 요청했다. 그러나 감사 범위가 의원들 관련은 제외되고 직원들 비위만 조사하는 것으로 입장을 선회했고, 현재까지 감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현재 시 감사위원회는 시의회 별관 4층에 조사실을 마련하고도 사실상 휴업 상태에 있다. 이에 감사 의지가 꺾인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서울시의회가 감사를 제대로 진행하지 않는 것에 대해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번 감사가 공직기강 문란 행위를 바로잡고, 서울시의회의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시의회 내부에서도 감사에 대한 불만이 여전하다. 감사가 갈팡질팡하는 사이 항간에 떠돌던 소문이 후반기 의장을 한 번 더 하려 했던 계략이 사실이라면 이는 아주 나쁜 의장 선례라는 것이다.
감사 범위가 축소된 것 또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당초 김 전 의장은 ‘의회 운영업무추진비’와 ‘의회 운영공통경비’ 등을 포함한 전방위 조사를 요청했으나, 의원들의 반발로 특정 사안 감사로 범위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감사 논란은 서울시의회 내부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시민들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서울시의회는 감사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한편 이번 감사는 이경숙 의원이 수석전문위원의 갑질 형태와 업무추진비 유용에 대해 지적하면서 시작됐다. 앞서 서울시의회는 4월 2일 ‘실, 관, 전문위원실’에 전체 자료를 제출하라는 공문을 각 부서에 보냈지만, 감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감사를 요청한 김현기 전 의장과 이를 보류시킨 이은림 전 운영위원장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