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3국이 손을 맞잡고 협력체제 복원과 정상회담 정례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 세계뉴스 |
[서울=세계뉴스] 조상호 기자 = 1일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리면서 박 대통령이 그동안 한중 정상회담과 유엔총회 참석, 한미 정상회담 등에 이은 한중, 한일 정상회담의 강행군을 펼치며 북핵공조와 동북아 외교 주도권을 쥐고 협력을 이끌어 냈다.
이번 3국 정상회의로 남중국해 문제와 북핵문제, 역사문제 등으로 복잡하게 꼬인 동북아 정세에서 한국의 외교적 입지를 확대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미얀마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제안한 박 대통령은 한중 정상회담에서 개최 방침과 시기를 못박음으로서 3년반 만에 3국 정상회의가 재개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도 3국 정상회의 재개와 관련한 박 대통령과 한국의 노력을 평가하면서 이번 회의를 통해 3국 협력이 완전히 복원됐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외교소식통은 “정치ㆍ군사적으로 동북아 각국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속에서 한국이 주도적으로 국면을 풀었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남중국해를 비롯해 미중간 패권경쟁이 가열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내 남아 있는 한국의 ‘중국경사론’ 해소와 미중 사이에서의 균형외교, 일본군 위안부문제와 일본의 한반도에서의 집단자위권 행사문제 등은 여전한 과제다. 여기에 남북관계 개선과 북핵문제와 관련한 구체적 해법도 마련해야 한다.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동북아평화협력구상,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등 대외구상이 이번 회담으로 반환점을 돌고 있다. 남은 과제는 북한의 비핵화 등 양자, 다자대화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한 해결방안이 중요하다.
박 대통령의 연쇄 정상외교의 다른 한 축은 북핵공조다. 특히 북한과 혈맹관계인 중국으로부터 북한 핵개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박 대통령이 60여년 전 김일성 주석과 마오쩌둥(毛澤東) 주석이 함께 했던 톈안먼(天安門) 성루에 올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함께 중국 전승절과 열병식을 지켜본 장면은 변화된 한중관계와 북중관계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역사적인 장면이었다.
박 대통령은 고심 끝에 결정한 전승절과 열병식 참석을 통해 시 주석으로부터 북한을 겨냥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끌어냈다.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앞두고 4차 핵실험과 추가 장거리로켓 발사를 시사한 시점에 북한의 전략적 도발 가능성을 억지하기 위한 메시지였다.
박 대통령은 이어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핵문제를 ‘최고의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갖고’ 다루겠다는 북핵ㆍ북한과 관련한 첫 한미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북한을 압박했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서 채택한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에서도 “한반도에서 핵무기 개발에 확고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한반도에 긴장을 조성하거나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어떠한 행동도 반대한다”는 한중일 공동의 대북메시지가 나왔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