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뉴스 윤소라 기자] 앞으로는 어르신들이 전국 보건소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에서도 사전 지문 등록을 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최근 심각해지는 치매노인 실종의 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 경찰청과 공동으로 실종 치매노인 조기 발견을 위한 ‘지문 등 사전등록’ 협업을 추진한다.
경찰청에서는 아동, 지적장애인, 치매 환자의 실종 방지를 위해 2012년부터 지문 등 사전등록 제도를 운영해 왔다.
치매노인의 경우 적극적으로 지문 사전 등록이 이루어지는 아동과 달리 질병 공개를 기피하는 보호자의 인식 등으로 사전 등록률이 저조(12.9%)한 실정이다.
현재 치매노인의 총 등록률은 38.6%에 그치고 있다. 이에 반해 8세 미만 아동은 86.0%, 장애인은 25.7%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안부는 지문 사전 등록 서비스 기관을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로 확대하기로 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환자 상담, 검진, 사례 관리 등 치매환자에 대한 종합적인 창구 역할을 맡게 된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지문 사전 등록 기반 구축 및 관련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치매안심센터 운영지침’을 개정하기로 했다.
또한 경찰청은 지문 등 사전 등록 시스템 접근 권한 부여 및 사전 등록 지침 작성·제공 등 사전 등록 시스템 사용을 지원한다.
행안부는 주민센터에서도 사전 등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일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이번 협업은 국정과제인 치매국가책임제의 중점과제 추진을 위한 것으로 실종 치매노인의 조속한 발견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이번 과제는 대국민 협업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제안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입장에서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협업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