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권 교체 후 기록 관리 방식과 책임 공방 확산
[세계뉴스 = 탁병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후 대통령실의 상태가 논란이 되고 있다. 4일 이 대통령은 출근 후 대통령실에 필기구나 컴퓨터조차 남아있지 않아 "무덤 같다"고 표현했다. 대통령실은 현재 홈페이지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윤석열 정부 시절의 홈페이지 관련 데이터와 소스코드가 모두 사라졌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1일 윤석열 정부가 컴퓨터 장비를 철거하고 홈페이지 관련 소스코드와 데이터를 모두 삭제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이재명 정부는 홈페이지를 처음부터 새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초기 일부 기능을 복구하여 임시 운영을 시도했으나, 핵심 구조와 디자인 관련 소스코드가 없어 난항을 겪고 있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레이아웃이나 구조적 정보가 전혀 남아있지 않아 처음부터 만들어야 한다"며 상황의 심각성을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러한 조치가 업무 인계를 넘어선 방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현재 대통령 기록관에 관련 자료 요청을 한 상태이며, 가능한 빠른 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 대통령실의 상태를 지적하며 "컴퓨터도 필기도구도 없다"라고 언급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기록물 삭제 행위가 명백한 범죄라고 주장했다.
반면, 윤석열 정부 관계자는 모든 자료가 대통령기록관에 절차대로 이관됐고 삭제나 은폐는 없었다며 법적 절차를 준수했다고 반박했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기술 인수 문제를 넘어 정권 교체기의 기록 관리 방식과 책임 공방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