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목당 최대 1억원 지원, 맞춤형 컨설팅~상인조직화~마케팅까지 체계적 지원
- 생활밀접형 점포 50개~300개 이하 골목상권이면 지원 가능, 전통시장은 제외
- ’16년부터 지난해까지 85개 상권 지원 완료, 컨설팅 2,400회, 노후시설 2,600건 개선
[세계뉴스 차성민 기자] 서울시가 제2의 힙지로, 만리동길을 키운다. 자치구별로 1곳씩 총 25개의 골목상권을 선정하고 연말까지 골목당 1억 원을 투입해 매력적인 상권으로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힙지로(중구), 만리동길(중구), 구로드웨이(구로구)는 높은 빌딩보다는 수수한 동네 분위기와 신복고(뉴트로) 감성이 가득한 ‘힙’한 골목들이 대세다. 특히 골목이 간직한 이야기에 지역특성까지 녹인 곳들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6년부터 지난해까지 ‘골목상권활성화 사업’을 실시, 총 85개 골목상권에 대해 2,400여건의 컨설팅과 2,600여건의 노후시설 개선을 완료했다. 지난해부터는 골목의 경관을 바꿀 수 있는 조형물과 축제‧행사 개최 등 다양한 홍보‧마케팅도 지원하고 있다.
![]() |
‘불광동 먹자거리(은평구)’와 ‘장미원 골목시장(강북구)’에는 브랜드아이덴티티(BI)와 캐릭터 개발을 지원해 특색있고 통일성 있는 상권이미지를 만들었다.
‘행운동 골목상권(관악구)’에는 거리공연(버스킹), 1일 강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축제와 행사를 개최하며 젊은 층의 발길을 끌었다.
올해부터는 현장 상인의 목소리를 반영해 일회성이나 단순 시설지원을 넘어 골목상권 활성화를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좀 더 정교한 지원모델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상인 역량을 강화해 자생력을 키워주고 골목상권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반(인프라)을 동시에 보강해 골목의 매력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다시 말해, 지역의 특징을 살려 골목의 모습을 바꾸고 상인들이 직접 골목에서 즐길거리 더해 시민들이 다시 찾는 선순환적인 효과를 내는 방식이다.
시는 3월~4월 중 공개모집과 별도 심의를 병행해 자치구별 1곳의 골목을 선정하고 12월까지 집중적인 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선정골목당 지원예산은 최대 1억원이다.
선정대상은 전통시장이 아니며 상권 내 생활밀접업종 점포가 최소 50개 이상 최대 300개 이하여야 한다.
컨설팅 결과를 반영한 점포 시설과 운영방식 개선에 필요한 교육비, 간판교체비용 등도 점포당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시민들이 편하게 방문하고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편의시설과 휴게공간도 확충한다. 사회관계망(SNS)에 올리기 좋은 조형물, 포토존, 거리디자인 등 공간연출을 지원해 시민들의 방문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골목의 특성을 반영한 행사와 축제 개최 기획‧운영 등 공동마케팅을 진행하고, 상권스토리 발굴 및 콘텐츠 제작 등 브랜딩도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3월 중 서울시(www.seoul.go.kr) 또는 서울신용보증재단(www.seoulshinbo.co.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고, 사업과 관련된 문의전화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상권지원센터로 하면 된다.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지난 6일 침체‧소외된 소규모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각종 지원을 차질없이 진행하기로 협력했다.
강인철 서울시 상권활성화담당관은 “골목상권활성화 사업은 성장가능성 있는 골목을 발굴해 상권조직화부터 운영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라며 “서울 곳곳의 골목을 살려 소상공인도 돕고 시민들도 매력있는 골목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