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뉴스 |
[세계뉴스] 김지영 기자 = 정부가 농·축산물 값 고공행진으로 물가안정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농·축·수산물 가격은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가 닥치면서 대형마트들은 닭고기 가격 인상에 나섰다. 또 설상가상으로 터진 구제역은 물가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한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9일부터 닭고기 제품 판매가를 6%가량 인상할 예정이다. 홈플러스도 내부적으로 가격 인상 방침을 정하고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이마트는 현재 4980원인 백숙용 생닭 1kg 가격을 5200~5300원대로 올리는 등 주요 닭고기 상품 가격표를 바꾼다. 이마트 관계자는 “산지가가 큰 폭으로 올라 백숙용, 볶음용 등 많이 판매되는 닭고기 품목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롯데마트도 백숙용 생닭 1kg 값을 4900원에서 5200원으로 올리는 등 일부 상품 가격 조정에 들어간다.
지난해 12월 AI가 전국적으로 퍼지자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31일 4890원까지 떨어졌던 닭고기(도계 1kg) 소매가는 이달 들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전날 가격은 5073원으로 1주일 새 4%가량 뛰었다.
지난달 말까지 1000~1100원대였던 육계 1kg 도매가는 설 연휴 뒤부터 닭고기 수요가 회복되고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하면서 가격이 급격히 올라 결국 AI 발생 전의 1500원대를 회복했다. 불과 1주일 만에 30% 이상 가격이 오른 셈이다.
더 큰 문제는 AI 사태가 현재진행형인 상황에서 구제역까지 발생한 것이다. 대형마트들은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소고기, 돼지고기 수요가 닭고기로 몰릴 경우 닭고기 가격을 추가로 올릴 여지도 있다고 전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문제가 불거지면 당연히 가격 변동이 불가피하지 않겠느냐”고 말해 가격인상을 예고했다.
소·돼지고기 가격 역시 잠시 떨어지다 구제역의 여파로 닭고기와 같은 가격인상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구제역 발생으로 방역당국이 비상인 가운데 AI 사태와 같이 초기 대응에 실패할 경우 소·돼지고기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다. 실제로 역대 최대 피해를 낸 지난 2010~2011년 구제역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던 2011년 7월 당시 돼지고기 가격은 전년도대비 41.2% 폭등했다.
[저작권자ⓒ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