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기 시의원, 강남구 일원동 '대청마을' 종상향 본격 추진

전승원 기자

news321@naver.com | 2017-03-07 14:23:10

상반기 "일원동 대청마을 도시계획적 지원방안 연구용역" 발주

▲ 김현기 서울시의원
[세계뉴스] 전승원 기자 = 강남구 일원동 대청마을 종상향을 위한 연구용역 발주 등 서울시의 도시계획적 사업이 적극 추진된다. 이 지역은 그 동안 주민들이 노후화된 주택을 계량하기 위해 수년간 용적률 상향 등의 도시계획 변경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지역이다.

김현기 서울시의원(자유한국당, 강남4)은 “권용태 외 1,763명이 청원한 ‘일원동 대청마을(단독주택지) 일반주거지역 종 상향에 관한 청원(‘16.11.21)’이 3일 제272회 임시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다”고 밝혔다.


서울시의회는 청원채택 의견서는 개포택지개발계획에 따라 개발된 강남구 일원동 단독주택지(대청마을)내 주택재건축사업을 위해 용도지역을 제1종 및 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제2종 및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종 상향해 줄 것을 요청했다. 

청원대상지는 개포택지개발계획에 따라 개발된 강남구 일원동 단독주택지(대청마을)내 준공된 지 30년이 지난 노후화된 다가구, 다세대 주택이 밀집된 지역으로서, 개별 건축 방식의 주거환경개선이 필요하나, 현행 제1종일반주거지역내 건축물에 대하여 지하층의 지상층으로의 건축행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준용적률의 조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용도지역 종 상향도 검토할 수 있다고 보아 이 청원을 채택한다는 의견을 서울시청에 통보했다.


대청마을은 개포택지개발사업 시 다양한 주거유형 마련을 위해 단독주택지로 개발된 지역으로, 817개의 필지로 구성된 약 37만 4천의 면적에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이하), 제2종일반주거지역 등으로 세분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각각의 용도지역에 맞춰 단독, 다가구, 다세대, 근린생활시설 등이 복잡하게 입지하고 있으며,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이다.


김 의원은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의 해결을 위해 첫 발을 내디뎠다”고 평가하고 “인근의 강남 쓰레기 소각장과 탄천 하수처리장 등 서울시의 대형 혐오시설로 인한 주민들의 정신적·재산적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서도 종 상향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2017년도 예산에 ‘일원동 대청마을의 도시계획적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기 위해 예산 1억 원을 2017년도 예결위 심의 과정에서 증액 확보했다”며 “이 용역 추진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대청마을은 2002년 6월 개포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단독주택지로 계획되었고, 2003년 법에 따른 의무적 일반주거지역 종세분화 당시 현재의 용도지역으로 각각 결정되었으며, 이후 2007년과 2011년 용도지역 상향[제1종일반, 제2종(7층)→제2종일반주거] 및 공동주택(아파트) 허용 계획(안)에 대한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심의에서 “당초 개포택지개발 계획에 의한 토지이용 유지” 등의 사유로 보류되었고, 2011년 지구단위계획 재정비계획이 고시되었음(‘11.6.23). 2016년 도시·건축공동위원회(‘16.4.27) 심의를 통해 용도지역 상향 없이 10세대(가구)이하의 다세대(가구) 주택 허용 계획(안)으로 수정 가결되어 2016년 8월 25일 결정고시 되었음.

[ⓒ 세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